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대엔 이제 마르크스가 없다

잡다한 이야기

by 사람사는 세상 만들기 2007. 11. 8. 09:14

본문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일한 마르크스 강의’ 김수행 경제학부 교수 퇴임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Das Kapital).’  한때 그 이름을 말하는 것조차 조심스러웠던 ‘사회주의의 바이블(성경)’을 1989년 국내 처음으로 전권을 번역·출간했던 김수행(65) 서울대 교수가 이번 학기를 끝으로 오는 22일 정년퇴임식을 갖고 강단에서 물러난다.

그는 좌파 사회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대표적 좌파 이론가였으며, 서울대 경제학부 33명 교수 중 유일하게 마르크스 경제학을 강의해왔다.

―은퇴를 앞둔 심정은?

“마음이 편치 못하다. 내가 떠나면 서울대 경제학부의 구도가 32대1에서 33대0이 되는 셈인데, 이건 심각한 문제다. 자본주의가 건전하게 발전하려면,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경제학도 있고, 폐해를 지적하는 경제학도 있어야 한다.”

―‘자본론’을 번역했을 당시 어려움이 많았을 텐데.

“당시만 해도 그 책은 불온한 금서(禁書)였다. 번역작업을 진행하던 88년 9월, 한 출판사 대표가 이 책의 일부를 번역했다는 이유로 구속되기도 했다. 89년 2월 서울대 교수로 임용되자마자 1권(상·하)을 내고, 5월에 2권을, 그리고 90년 3월에 3권(상·하)을 발간했다. 서울대 교수가 잡아갈 테면 잡아가라는 식으로 출간해 버리니 경찰도 어쩔 수 없었던 모양이더라. 그 책 판 돈으로 아파트(경기도 산본) 분양값도 냈다. 마르크스가 아파트를 사 준 셈이다(웃음).”

―마르크스주의는 여전히 한국사회를 분석하는 데 유효한 모델인가?

“그렇다. 한국사회가 자본주의인 이상, 우리 앞에 놓인 기본 문제는 여전히 자본과 노동 간의 갈등관계다. 그것을 예리하게 분석하는 틀을 제공하는 점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의미 있다. 갈수록 진행되는 글로벌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열풍 속에서 노동자와 서민들은 궁핍한 삶을 강요 받고 있다. 근대경제학(영·미식 주류 경제학)으로는 이런 문제를 풀 수가 없다.”

―본인은 마르크스주의자인가?

“(잠시 뜸을 들인 뒤) 그렇다. 나는 자본주의가 여전히 문제가 많은 제도이고 그것을 시정하는 데 마르크스주의가 좋은 시각을 제공한다는 것을 믿는 마르크스주의자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는 인간을 각종 굴레에서 해방(解放)시키려는 것이지, 옛 소련처럼 국내총생산(GDP)을 몇 % 증강시킨다든지, 북한처럼 ‘이팝에 쇠고기 먹는’ 물질적 세상을 구현하자는 게 아니다. 그렇게 마르크스주의를 좁은 틀에서 해석하고 밀어붙이다 보니 (옛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당 관료가 자본가를 대신해 억압하는 체제를 만들었고 결국 무너진 것이다.”

―젊어서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면 바보이고, 나이 들어서도 마르크스주의자이면 더 바보라는 말도 있는데.

“그것을 마르크스주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비아냥거리듯이 하는 얘기다. 어찌 보면 나이 들어서는 타협하라는 얘기인데, 나는 그런 말에 현혹되지 않는다.

―정작 마르크스는 말년에 ‘나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당시에도 얼마나 사이비 마르크스주의가 횡행했는지 보여주는 얘기다. 그의 생각을 단선적으로 이해하고, 경제적 하부토대가 세상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식의 기계적 유물론이 판쳤다. 오죽했으면 마르크스 본인이 마르크스주의자임을 부인하는 코미디 같은 일이 벌어졌겠는가?”

―그렇다면 마르크스주의가 문제가 아니라, 마르크스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문제라는 말인가?

“자신을 마르크스주의자 혹은 진보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이들의 냄비근성이 더 문제다. 1980~90년대 한국 사회에서 너나 할 것 없이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하더니, 이제는 모두들 떠나 버렸다. 그러나 한국에 제대로 된 마르크스주의자가 있었는지 의심이다. 그저 일본 공산당이 번역한 소련 공산당의 팸플릿 수준 책자를 들여와 공부하는 꼴이었다. ‘브레즈네프(소련공산당 서기장)가 말하기를…’이라는 식의 이론이 무슨 마르크스주의인가. 진보를 자처하면서도 진보에 역행하는 일은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마르크스주의를 배우는 서울대 학생들이 많은가?

“박사과정에 9명, 석사과정에 3명이 있고, 학부에서도 240여 명이 강의를 듣는다. 열심히 공부한다. 마르크스 경제학은 경제이론뿐 아니라 철학·역사·사회학 등 폭넓은 시각을 공부해야 하는 것이라서 기업체나 연구기관에서 활용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 자녀들이 그것을 공부한다고 부모가 겁낼 필요 없다.”(웃음)

◆마르크스주의(Marxism)

마르크스(1818~1883)와 엥겔스(1820~1895)가 확립한 혁명적 사회주의 이론. 잉여가치(이익)를 만드는 원천은 자본이 아닌 노동이라고 규정하고, 노동자의 계급혁명에 의해 자본주의 사회가 소멸된다고 예측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